전체 글 109

FreeBSD 설치 후 기본 단도리

SSH 연결이 아직 가능하지 않다. 모니터(콘솔)에서 설정한다. 루트로 로그인한다. ❚ 한국어 로케일(문자셋) 설정 ee /usr/share/skel/dot.login_conf 또는, vi /usr/share/skel/dot.login_conf ee, vi 말고 익숙한 편집기가 있다면 그 거를 써도 된다. 여기에 설정해두면 이 후에 추가하는 계정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세 줄의 주석을 제거하고 한국어 문자셋을 설정한다. me:\ :charset=UTF-8:\ :lang=ko_KR.UTF-8: ESC 키를 누르면 ee 편집기의 주 메뉴 팝업이 뜬다. a가 ee 편집기 종료이다. 엔터를 친다. a가 수정 내용을 저장하고 ee 편집기 종료이다. 엔터를 친다. ❚ SSH 설정 /etc/ssh/sshd_conf..

설치 2023.07.18

FreeBSD 13 설치

설치 미디어(USB, ODD)로 부팅 한다. 가급적 UEFI 옵션으로 설치한다. 부트 미디어로 부팅이 될 때까지 기다린다. Install에 마킹이 기본이다. 엔터쳐서 설치를 시작한다. 기본 선택된 키보드로 한다. 호스트 이름을 적당히 알아서 짓는다. ports와 src를 추가한다. 키보드의 스페이스바 키로 선택된다. OS가 설치되는 디스크는 UFS 파일시스템을 권장한다. 견고함 유지보수가 쉬움 Auto 파티션 무방 스토리지의 파일시스템은 별도 디스크에 ZFS로 하는 게 좋다. OS를 설치할 디스크를 선택한다. 전체 사용으로 한다. 기존에 데이터가 있으면 지워진다. 사용하던 디스크라면 내용물이 백업된는지 설치전에 확인했어야 한다. 대세는 GPT이다. 자동으로 파티션되는 값이 권장 사항이다. 파티션 정보를 ..

설치 2023.07.17

예)https://www.abc.co.kr -> https://abc.co.kr - 301 리디렉트2

티스토리를 예로 든다. 이런 거 때문이다.△ 개인도메인이 abc.co.kr라고 가정했다. abc.co.kr을 등록한 데로 가서 첨부 이미지처럼 DNS레코드를 등록한다. Type(유형) : A 호스트(이름) : @ 값/위치(데이터) : 27.0.236.139 Type(유형) : CNAME 호스트(이름) : www 값/위치(데이터) : r.forwarddomain.net. Type(유형) : TXT 호스트(이름) : _.www 값/위치(데이터) : forward-domain=https://www.abc.co.kr/* 예로 든 위 3가지 레코드를 등록한다. 가비아가 아닌 다른 데도 이와 유사하다. 별도 DNS를 운영시 존파일 예는 이렇다. abc.co.kr. IN A 27.0.236.139 www.abc.co..

코드 2023.07.17

예)https://www.abc.co.kr -> https://abc.co.kr - 301 리디렉트

개인 도메인을 사용하고자 할 때 SSL 인증서에 SAN을 하나만 넣어 주는 데가 있다. 티스토리, 노션, 깃허브 등이다. 그래서 SSL이 적용되면 https://www.abc.co.kr과 http://www.abc.co.kr은 접속이 안된다. 이에 https://abc.co.kr으로 리디렉트되도록 한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클라우드플레어의 DNS 프록싱을 이용하는 게 가장 낫지 싶다. 티스토리를 예로 든다. 1. cloudflare.com 가입 2. 도메인을 사이트로 추가(Free 요금제) 3. DNS 레코드 추가 4. 규칙에 Page Rule 추가 5. 도메인의 이름 서버를 클라우드플레어 것으로 변경 6. 개인 도메인 설정

코드 2023.07.15

Windows Server 2012 R2 - .NET Framework 3.5 기능 추가 안되는 경우

서버관리자에서 추가 실패 역활 및 기능 추가 마법사에서 설치 진행했다. 설치하지 못했다. 원본 ISO를 탑재한 후 대체 원본 경로를 지정해서 다시 설치를 시도했다. (D:\는 DVD원본이나 ISO를 탑재한 경로) 마찬가지였다. DISM으로 시도 실패 명령프롬트창에서 DISM을 실행하였다. DISM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NetFx3 /All /LimitAccess /Source:D:\sources\sxs 역시 에러가 났다. DISM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NetFX3ServerFeatures /All /LimitAccess /Source:D:\sources\sxs 결과는, .NET Framework 3.5 기능은 추가된..

관리 2023.07.07

VMWare 가상머신(NAT환경) 서비스에 접속

VMWare 가상네트워크에서 가상머신의 서비스 포트를 호스트와 연결한다.(결국은 포트 포워딩) 1. Virtual Network Editor를 실행한다. 2. 설정 변경으로 간다. 3. 권한 상승을 허용한다. 4. 스위치를 추가한다. 5. 안쓰는 것 하나를 선택한다. 6. Host-only를 NAT로 바꾸고 설정한다. 7. 포트 포워딩을 추가한다. 8. 포워딩을 설정한다. *이하는 윈도우의 RDP서비스를 예로 든다. 9. Gateway IP를 알아 두고 설정을 마무리한다. *VMWare를 실행하는 호스트의 가상 어댑터 주소이다. 10. Subnet mask를 알아두고 가상 네트워크 설정을 종료한다. 11. 가상 머신에 네트워크 어댑터가 없으면 추가한다. 12. Custom으로 바꾸고 NAT가 구성된 스위..

네트워크 2023.07.07

파일질라(Filezilla) 설치, 접속설정

FTP, FTPs, sFTP를 사용하기 위해서다. FTP는 레거시로 보안에 취약하다. FTPs는 FTP에 SSL를 입혀서 보안을 강화했다. sFTP는 SSH의 Subsystem으로써 원격파일 관리 및 전송에 유용하다. 1. 인스톨러 다운로드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platform=win64 64bit 버전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platform=win32 32bit 버전 2. 무료인 FileZilla 에디션을 선택한다. 3. 다 받아지면 바로 실행(열기)한다. 4. UAC 권한을 허용한다. 5. 라이선스에 동의한다. 6. ..

설치 2023.07.07

VMWare Workstation Pro 가상 네트워크 설정

VM에 네트워크어댑터 2개를 할당하여 하나는 사설 네트워킹을 하고 나머지는 외부 서비스로 이용할 목적인 경우이다. 1. Virtual Network Editor를 실행한다. 2. Change Settings로 간다. 3. PC용 윈도우인 경우 사용자 계정 컨트롤 권한을 상승시킨다. 4. 자동으로 생긴 VMnet0은 제거한다. 5. VMnet1을 다음과 같이 Host-only로 수정한다. 6. VMnet8을 브릿지로 설정한다. 7. 가상 네트워크 설정을 마친다. 8. 가상 네트워크가 다음처럼 표기돼도 실제는 다르니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네트워크 2023.07.07